보검스님의 ‘세계종교문화산책’-⓵ 연재를 시작하며...
종교란 사회 문화적 체계
이 세상에는 1만 개 정도의 서로 다른 종교가 있지만 거의 모든 종교가 지역에 기반을 두고 있다. 말하자면 세계적인 보편 종교는 그렇게 많지 않다는 의미가 될 것이다.
지역에 기반을 두고 생긴 조그마한 규모의 종교는 대체로 적은 수의 추종자를 가지고 있다. 수많은 종교 가운데 4가지 종교인 기독교, 이슬람교, 힌두교, 불교는 세계 인구의 77% 이상을 차지하고 있다.
이 4개의 종교인구가 세계 모든 종교인구 가운데 92% 정도를 차지하고 있다. 나머지 9,000개 이상의 종교가 전체 인구의 8%에 불과하다고 볼 수 있다. 물론 이런 종교인구 통계에는 특정 종교에 속하지 않는 사람들, 무신론자, 불가지론자가 포함된다.
많은 세계 종교는 자체의 조직화된 종교단체이다.
아브라함 종교인 기독교, 이슬람교, 유대교는 비교적 조직화된 종교이다.
그렇지만 다른 종교, 특히 민간 종교, 토착 종교 및 일부 동양 종교는 덜 조직적이다.
세계 인구의 일부는 새로운 종교 운동의 구성원이기도 하다. 학자들은 일반적으로 출산율이 높은 종교 국가로 인해 어떤 종교는 전 세계적으로 종교성이 더 증가할 수 있다고 지적하고 있다. 이 의미는 다시 말하면 이슬람 같은 종교인구가 증가할 수 있다는 것을 뜻한다.
종교학은 신학, 종교철학, 비교종교학, 사회과학 등 다양한 학문 분야로 구성된다. 종교 이론은 종교적 존재와 믿음의 존재론적 기초를 포함하여 종교의 기원과 작용에 대한 다양한 설명을 제공하고 있다.
우리의 삶은 정치 경제 사회 등 제반 문화 현상과 함께 하면서 살아가고 있다. 아무리 탈종교화 시대라고는 하지만, 종교는 우리의 삶과 밀접한 관련 속에 있다.
종교는 일반적으로 인류를 초자연적, 초월적, 영적 요소와 연관시키는 지정된 행동 및 관습, 도덕, 신념, 세계관, 텍스트, 신성한 장소, 예언, 윤리 또는 조직을 포함한 다양한 사회 문화적 시스템이라고 할 수 있다. 종교를 정확히 구성하는 것이 무엇인지에 대한 학문적 합의는 없다. 다양한 종교는 신성, 신성함, 신앙, 초자연적 존재 또는 존재에 이르는 다양한 요소를 포함할 수도 있고 포함하지 않을 수도 있다.
종교적 신념의 기원은 개인의 죽음에 대한 인식, 공동체 의식, 꿈 등 다양한 설명이 가능한 열린 질문이다. 종교에는 생명의 기원, 우주 및 기타 현상을 설명하려고 시도할 수 있는 구전 전통, 신성한 텍스트, 상징 및 성소에 보존된 신성한 역사, 설화 및 신화가 있다.
종교적 관행에는 의식, 설교, 신 또는 성인에 대한 기념 또는 숭배, 희생, 축제, 잔치, 황홀경, 입회식, 결혼 및 장례식, 명상, 기도, 음악, 예술, 춤 또는 공공 봉사가 포함될 수 있다.
종교라는 용어는 고대 프랑스어와 앵글로-노르만(서기 1200년대)에서 유래되었으며 권리 의식, 도덕적 의무, 신성함, 신성한 것, 신에 대한 존경에 대한 존중을 의미한다. 이는 궁극적으로 라틴어 religiō에서 유래되었다.
로마 철학자 키케로(Cicero)에 따르면, religiō는 relegere(‘다시’를 의미함) + LEGO(‘읽다’를 의미)에서 유래했으며, 여기서 레고는 ‘넘어가다’, ‘선택하다’ 또는 ‘신중하게 고려하다’라는 의미이다. 이와는 견해를 달리하는 일부 현대 종교학자들은 religiō가 religare, 즉 re(‘다시’를 의미함) + ligare(‘묶다’ 또는 ‘연결하다’)에서 파생되었다고 주장했다.
고전 고대에서 종교는 광범위하게 성실성, 권리 의식, 도덕적 의무 또는 모든 것에 대한 의무를 의미했다. 고대와 중세 세계에서 어원적인 라틴어 뿌리 religiō는 일상적인 상황에서 예배의 개별적인 미덕으로 이해되었다. 결코 교리나 실천, 지식의 실제 원천이 아니다.
일반적으로 종교는 가족, 이웃, 통치자, 심지어는 신에 대한 모든 것에 대한 광범위한 사회적 의무를 의미한다. Religiō는 고대 로마인들이 신과의 관계의 맥락에서가 아니라 감정뿐만 아니라 망설임, 주의, 불안 또는 두려움과 같은 일상적인 맥락에서 고조된 주의에서 발생하는 일반적인 감정의 범위로 가장 자주 사용되었다. 속박되거나, 제한되거나, 금지되는 것을 의미했다.
religiō는 1200년대경 영어로 종교로 들어오면서 ‘수도원 서약에 묶인 삶’, 즉 수도원 명령이라는 의미를 갖게 되었다. 종교적인 것과 세상적인 것을 분리하는 구획화된 종교 개념은 1500년대 이전에는 사용되지 않았다. 종교라는 개념은 1500년대에 교회의 영역과 국가 권력의 영역을 구별하기 위해 처음 사용되었다. 아우크스부르크 평화는 크리스티안 로이스-스미트(Christian Reus-Smit)가 ‘유럽 주권 국가 체제를 향한 길의 첫 단계’라고 묘사한 그러한 사례를 표시한다.
로마 장군 율리우스 카이사르(Julius Caesar)는 포로로 잡힌 군인들이 포로들에게 맹세하는 것을 논할 때 ‘선서의 의무’를 의미하기 위해 religiō를 사용했다. 로마의 박물학자 플리니우스(Pliny the Elder)는 밤하늘에 대한 코끼리의 명백한 존경심을 묘사하기 위해 종교라는 용어를 사용했다. 키케로는 religiō를 컬툼 데오룸(신 숭배)과 관련된 것으로 사용했다. 보검<세계불교네트워크 코리아 대표>
<저작권자 ⓒ 데일리미디어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댓글
|
많이 본 기사
|